디피컬 투 이지 님의 블로그

보험이라는 복잡한 서비스에 조금이나마 손쉽게 다가가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 2025. 4. 10.

    by. diffictoeasy

    목차

      뇌심경증 보험

      1. 뇌심경증진단 보험이란?

      암뇌심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보험 가입을 권유받았을 때 최소한 암뇌심은 보장해야 한다는 말씀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여기서 암이란 말 그대로 암을 의미하고 뇌는 뇌질환, 심은 심장질환을 의미합니다. 뇌질환 및 심장질환의 대표 질환을 예로 들자면 뇌출혈 및 급성심근경색증을 들 수 있습니다. 사실, 암뇌심을 보장해야 한다는 말은 원래는 암, 뇌출혈, 급성심근경색증에 대한 위험을 보장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사망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질병의 종류는 많지만 발생빈도까지 고려했을 때 가장 우려가 되는 질병이 위의 세가지 질병입니다. 그러다 보니 질병으로 인한 사망을 보장하는 담보구성의 대명사가 된 것이죠. 그렇다면 뇌심 경증 진단 보험이란 무엇일까요? 바로 뇌질환과 심장질환 중 중증 질환을 제외한 경증질환에 대해서도 보장을 해주는 보험입니다. 암뇌심을 보장하는 담보가 건강보험의 필수담보가 되어가면서 상품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증질환에 대해서도 보장해 주기 시작하였고 시간이 지나며 보장가능금액도 점점 확대되었습니다. 

       

      2. 뇌심경증진단 보험의 대상 질병 

      그렇다면 뇌심 경증 진단보험에서 보장해 주는 질병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것은 뇌심경증진단보험의 명칭을 보면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뇌심경증진단보험의 대표적인 특약 두가지에는 뇌혈관질환진단특약과 허혈성심장질환진단특약이 있습니다. 중증질환인 뇌출혈은 뇌혈관질환의 한 종류이고 급성심근경색증은 허혈성심장질환의 한 종류입니다. 이런 진단 보험은 특정질병에 진단이 되어야 보험금이 지급되는데 뇌혈관질환과 허혈성심장질환의 KCD 질병 코드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뇌혈관질환 분류표:

      대상질병 KCD 코드
      거미막하출혈 I60
      뇌내출혈 I61
      기타 비외상성 두개내출혈 I62
      뇌경색증 I63
      출혈 또는 경색증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졸중 I64
      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뇌전동맥의 폐쇄 및 협착 I65
      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대뇌동맥의 폐쇄 및 협착 I66
      기타 뇌혈관질환 I67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뇌혈관장애 I68
      뇌혈관질환의 후유증 I69

       

      허혈성심장질환 분류표:

      대상질병 KCD코드
      협심증 I20
      급성 심근경색증 I21
      후속 심근경색증 I22
      급성 심근경색증 후 특정 현존 합병증 I23
      기타 급성 허혈심장질환 I24
      만성 허혈심장병 I25

       

      뇌혈관질환의 경우 I60, I61, I62 코드에 해당되는 질병을 통상 뇌출혈이라고 부릅니다. 분류표에서 보시다시피 뇌혈관질환이 뇌출혈 외에도 다른 뇌관련질환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시죠? 마찬가지로 심장질환의 경우에도 급성심근경색증은 I21, I22, I23 만 의미하나 허혈성심장질환은 그 외의 심장질환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뇌심경증진단 보험 장단점은?

      이 글의 제목을 '뇌혈관질환 진단 보험 가입해야 할까요?' 라고 붙인 이유는 뇌심경증진단이라는 말보다는 그래도 한 번쯤 들어보셨을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이 글에 대한 거부감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글의 주제를 '뇌심경증진단 보험 가입해야 할까요?'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에서 보셨다시피 경증진단 보험에 가입하면 폭넓은 보장범위를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뇌출혈, 급성심근경색증보다 더 쉽게 걸릴 수 있는 질병까지 보장함에 따라 보험금을 수령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그러나 보장범위가 넓어지는 만큼 보험료가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보험사마다 조금씩 상이하긴 하지만 뇌혈관질환진단특약의 경우 뇌출혈만 보장하는 특약 대비 약 6배가 비싸고, 허혈성심장질환진단특약의 경우 급성심근경색증만 보장하는 특약 대비 약 3배 정도 비쌉니다. 

       

      4. 뇌심경증진단 보험 가입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보험의 본질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위에서 뇌혈관질환진단특약은 뇌출혈진단특약 대비 보험료가 6배가 비싸고, 허혈성심장질환진단특약은 급성심근경색증진단특약 대비 보험료가 3배 비싸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경증질환이 걸릴 확률이 각각 6배, 3배씩 높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경증질환에 걸릴 확률이 중증질환에 걸릴 확률보다 6배 높다고 하더라도 그 질병에 걸렸을 때 겪게 되는 피해가 6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뇌출혈이나 급성심근경색증은 죽음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질병이고 죽음에 이르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동반되는 후유증이나 합병증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게 되지만 그것을 제외한 경증질환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보험의 본질이라는 관점에서, 경증질환까지 보장하기 위해 높은 보험료를 내는 것은 과한 지출이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차라리 경증질환까지 보장하기 위해서 높은 보험료를 지출하기 보다는 중증질환의 보장금액을 두배로 늘리는 것이 더 나아 보입니다. 중증질환에 걸리게 되면 생계활동을 유지하기 힘들어지니 만큼 재정적인 부담도 함께 짊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5. 정리

      만약, 뇌심경증질환의 보험료가 낮은 편이라면 망설임없이 꼭 가입하라고 말씀드렸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뇌심 경증질환의 보험료는 질병 담보 중에서 매우 비싼 편에 속합니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 담보의 보험료를 납입하기 위해서 매월 지출해야 하는 돈은 꽤나 부담스럽습니다. 해당 질병에 걸렸을 때 겪게 되는 피해 요소를 고려했을 때 그 정도의 보험료를 납입하는 것은 과하다는 것이 사견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뇌심 경증질환에 걸려도 높은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는 말에 현혹되시기보다는 진짜 보장이 필요한 위험에 대한 보장금액을 늘려보시는 것이 어떠실까요??